URI Scheme 딥링크
1.Custom Scheme 딥링크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딥링크 방식은 URI Scheme(URI 스킴) 방식 입니다.
URI 스킴을 이용한 딥링크는 앱에 Scheme값을 등록하는 형태로 앱을 구분합니다. 스킴은 앱마다 등록할 수 있는 값으로 "특정 스킴값을 호출하면 특정 앱이 오픈된다." 라는 약속을 실행합니다. 여러분이 트위터 앱을 오픈하고자 한다면 twitter:// 라는 스킴값을 이용하면 됩니다. 이 스킴값은 앱 개발시 효율적인 앱 오픈을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사에서 자신들만의 값으로 등록을 하게 됩니다.
앱 내에서의 특정 페이지는 'path' 값으로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트위터 앱의 회원가입 페이지를 오픈하고자 한다면 twitter://signup 이라는 값을 사용합니다.
정리하면, URI 스킴 방식은 Scheme://Path라는 두개의 요소로 구성됩니다.
Scheme://Path
Scheme = 앱을 특정함 (트위터)
Path = 앱 내 페이지를 특정함 (트위터 내 회원가입 페이지)
2.장단점
다른 라이브러리 설정 없이 쉽게 딥링크를 사용할수 있다.
ios,android 구분없이 거의 모든 웹뷰에서 정상작동을 한다.
스키마가 중복이 되는 문제가 있다.(원한지 않는 앱이 뜰수도 있다.)
딥링크 클릭의 통계 등을 확인할수 없다.(마케팅의 효율이 떨어짐)
앱이 없을경우를 대비해 앱스토어로 이동하는 코드를 직접 구현해야된다.
3.사용예
<a href="mintapp://link?url=https://www.domain.com"></a>
<script>
//3초간 이동이 없다며 앱스토어로 이동한다.
setTimeout(function(){
document.location.href = "https://play.google.com/1234"
},3000)
</script>Last updated
Was this helpful?